■이광복 소설가 문학비 제막식 성료■

[샘문뉴스]= 충남얼살리기사업 8번째 선화공원 내 ‘불멸의 혼’ 우뚝 서다 - 충남문인협회 (회장 김명수)는 향토문인을 찾아 그의 문학과 정신을 살피는 충남의 얼 살리기 사업을 펼치면서 이광복 소설가 문학비 제막식을 2022년 12월 9일 (금) 오전 11시에 부여 선화공원에서 거행하였다.

가 -가 +sns공유 더보기

김성기 기자
기사입력 2022-12-26 [06:06]

 

  © 이정록

 

               [샘문뉴스]

 

■이광복 소설가 문학비 제막식 성료■

 

     충남얼살리기사업 8번째
선화공원 내 ‘불멸의 혼’ 우뚝 서다

 

  © 이정록

충남문인협회 (회장 김명수)는 향토문인을 찾아 그의 문학과 정신을 살피는 충남의 얼 살리기 사업을 펼치면서 이광복 소설가 문학비 제막식을 2022 12월 9일 (오전  11시에 부여 선화공원에서 거행하였다. 

  © 이정록

 

이광복 한국문인협회 이사장박정현 부여군수장성용 부여군의회 의장김명수 한국문인협회 충남지회장정찬국 부여문화원장유재형 석성나누리장학재단 대표충남문협 이사들과 부여문협 회원 등 200여 명이 참석하였다.

 

김용순 충남문협 부회장의 사회로 시작된 제막식은 최규학 부회장의 경과보고구재기 충남문인협회 고문의 작가 소개김명수 충남지회장 인사 말씀박정현 부여군수 축사장성욘 군의회 의장 축사정찬국 부여문화원장 축사유재형 석성나누리장학재단 대표 축사이광복 이사장에 감사 인사제막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되었다.  

 

  © 이정록

최규학 충남문협 부회장은 경과보고를 통해 "본 사업에 대한 부여군의 지원은 『부여군 기념물 건립 및 관리에 관한 조례』에 따라 추진되었다. 2022년 7월 29일 충남문협 이사회에서 이광복 문학비 건립이 결정되었고, 2022년 11월 30일 제3회 부여군기념물심의위원회에서 문학비 심의 의결이 되어 12월 9일 제막식을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 이정록

구재기 고문은 작가소개를 통해 소설가 이광복은 1951년 충남 부여군 석성면 중산리에서 태어났다. 1976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민초들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독보적안 작가 세계를 펼치는 한편 민족과 역사에도 관심을 기울여 한국문학의 지평을 확장했다. 2019년 ()한국문인협회 제27대 이사장에 취임하면서 문단의 화합에 노력하였고 특히 충남문인들을 적극 성원하였다고 말하였다.

 

  © 이정록

김명수 충남문협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신익선 고문이  2014년 회장을 맡아 이 사업을 시작했다문학비 건립은 충남 얼 살리기 사업으로 2014년 나태주 시인의 시비를 시작한 이래 오늘이  8번째 문학비다.  이곳에 충남문협과 부여군의 협업으로 보다 규모있게 이광복 소설가의 문학비가 세워지게 되어 기쁘다앞으로 선화공원이 문학공원이 되어 많은 문학인의 시비와 문학비가 세워지길 기원한다라고 하였다

 

  © 이정록

박정현 부여군수는 축사를 통해  " 선화공원이 문학비로 인해 더 빛나게 된 것 같다앞으로도 지역의 이름난 문인이 발굴되어 이러한 문학비가 계속 세워지기를 바란다부여를 빛내는 일에 적극 지원하겠다 고 하였다

 

▲     ©이정록

 

문학비의 주인공 이광복 소설가는 감사 인사를 통하여 충남문협 김명수 지회장과 최규학 부회장박정현 부여군수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고향 땅 부여에 문학비가 세워져 가슴이 벅차다. 문학비 건립에 애써준 모든 분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더 열심히 노력해서 부여와 한국을 빛내는 문인이 되겠다” 고 피력하였다.

 

  © 이정록

이어서 문학비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정근영 조각가와 조종국 서예가에 대한 감사패 전달이 있었다.  이광복 소설가 문학비 제막은 내빈 전체 참여해 하였으며 전체 기념촬영을 한 후 제막식을 마쳤다.

  

▲     ©이정록

 


▣이광복 문학비 내용

 

웅진熊津으로부터 흘러온 강은 사비泗沘 도성을 감돌아 반달을 그리면서 저 멀리 기벌포伎伐浦를 향해 유장히 흘러가고 있었다해가 저물고 있었다서쪽 하늘에 이글이글 불타는 저녁노을 이 강물에 어리어 백마강白馬江은 온통 핏빛으로 붉게 물들어 있었다.

                                                                 - 이광복 장편소설 중에서 -

 

소설가 이광복은 1951년 충남부여군 석성면 중산리에서 태어났다그는 1976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하여 가난하고 소외된 민초들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독보적인 작가의 세계를 펼치는 한편 민족과 역사에도 관심을 기울여 한국문학의 지평을 확장했다그는 왕성한 창작활동으로 여러 문학상을 수상하였다특히 고향인 부여를 배경으로한 소설 작품 등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여 2014년 부여 100년을 빛낸 인물로 선정되었다. 2019년에는 ()한국문인협회 제27대 이사장에 취임하여 문단 대화합 등 지대한 업적을 이룩했을 뿐만 아니라 충남 문인들을 적극 성원하였기에 이를 오래 기억하고자 ()한국문인협회 충남지회가 충청남도와 부여군의 지원을 받아 이 문학비를 세운다.

<2022년 12월 9일>

 

▲     ©이정록

 

 

▣소설가 이광복의 작품과 수상 경력▣

 

<저서>

■ 소설집 화려한 밀실』 『사육제』『겨울여행』『먼 길』 『동행』 『만물박사(3)

■ 장편소설 풍랑의 도시』『목신의 마을』『폭설』『열망』『술래잡기』『겨울무지개』 『바람잡기』『송주임』『이혼시대(3)』『사랑과 운명』『불멸의 혼 계백』『구름잡기』『안개의 계절』『황금의 후예

■ 산문집 절망을 희망으로』『슬픔을 기쁨으로』『불행을 행복으로』 외 다수

 

<수상경력>

대통령표창(1987·1995) 한국소설문학상(1994) 조연현문학상(1995) 국제PEN문학상(2012) 부여 100년을 빛낸 인물(문화예술부문, 2014) 대한민국예술문화대상(2022) 외 다수 

 

[글 김명수, 조각 정근영, 전면글씨 조종국]

 

---------------------------------------------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     ©이정록

 

김성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최신기사

URL 복사
x

PC버전 맨위로 갱신

Copyright 샘문뉴스. All rights reserved.